linux 썸네일형 리스트형 [Linux] Mysql 설치 /삭제 / 계정생성 / 권한설정 1. mysql 패키지 설치 # yum install mysql -server 2. mysql 서버 실행 #service mysqld start 3. root 비밀번호 생성 #mysql -u root -p mysql update user set password=password('new-password') where user='root'; password() =>비밀번호 암호화 함수.. 4.적용 flush privileges; 5. 부팅시 자동시작 설정 chkconfig --list mysqld chkconfig mysqld on chkconfig --list mysqld [주의]# mysql -u root -p Enter password: ERROR 1045 (28000): Access denied fo.. 더보기 [Linux] Cent Os 본딩(Bonding) - 본딩의 모드 0 - RR(RoundRobin)방식 로드밸런스. 인터페이스의 라운드로빈(대역폭 상승 + Failover) 1 - Active-Standby (NIC 의 Failover 만을 위한 모드) 한개는 Standby로 기존 것이 문제 생길경우 active로 전환 2 - XOR 방식 / 수신시에는 MAC 어드레스로 매핑, 송신시 1번 NIC 사용 3 - Broadcast 방식 / 모든 Slave NIC 으로 통신 failover 제공 4 - 802.3ad Dynamic Link aggregation 5 - 송신패킷만 로드밸런싱 / 동일 스위치에 물려있어야 함 6 - 송수신패킷 로드밸런싱 / 동일 스위치에 물려있어야 함 1. vi /etc/sysconfig/network 기본 gateway설정 GA.. 더보기 [Linux] Cent Os 설치시 디스크 파티션 1. http://ftp.daum.net/centos/ 2. 6.4 / Minimal / 64bit 버전 설치 - http://ftp.daum.net/centos/6.4/isos/x86_64/CentOS-6.4-x86_64-minimal.iso root암호 설정 확인 파티션 설정 - /boot =>512MB : 커널 이미지용 파티션(첫번째 파티션으로 만듦 - 부팅시 필요한 공간 ext4) swap =>메모리의 2배 ~ 2.5배 : 스왑파티션(swap) / =>1024MB :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시스템 관련 파일 저장. /usr =>최하 2G : 관리자나 일반사용자들의 명령어가 저장되는 곳,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곳 /usr/local =>4G : Apache, Mysql, PHP, Zend 등 응.. 더보기 [Linux] Mysql 파티셔닝(Partitioning) 1. 파티셔닝의 목적 많은 데이터의 빠른 처리를 위한 방법중 하나로 데이터와 인덱스를 조각화하여 물리적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. - 특정 데이터 집합의 추가 / 삭제가 간편 - 데이터 검색 시 특정 파티션만 읽어서 속도 향상 - 병렬처리 가능 - 한 테이블에 너무 많은 데이터 입력되었을시 발생하는 속도저하 방지 2. 내부 처리 주위 : 파티션에 사용 되는 값은 int, date, datetime형만 가능. create table tb_1( int_value int null, reg_date datetime not null, .. .. primary key(int_value) ) parition by range(year(reg_date)){ partitio.. 더보기 [Linux] Mysql dump 1. dump # mysqldump -u[사용자아이디] -p 데이터베이스명 [테이블명] > 저장될 파일명 db dump) mysqldump -u id -p db > dump.sql table dump) mysqldump -u id -p db table_name > table_dump.sql mysqldump -uid -ppw --routines --events db [table] > db.sql 2. recovery # mysql -u[사용자아이디] -p [디비명] < 덤프파일명 db dump) mysql -u id -p table_dump.sql 참조 : http://qdata.co.kr/bo/bbs/board.php?bo_table=myt&wr_id=54 더보기 [Linux] 오라클 실행 및 종료 1. oracle instance 실행 $ sqlplus /nolog sql>connect / as sysdba sql>startup 2. oracle listener 실행 $ lsnrctl start 1. oracle instance 종료 sql>shutdown immediate 2. oracle listener 종료 $ lsnrctl stop 참조 : http://kogaeng.tistory.com/230 더보기 [Linux] 리눅스 종료 끄기 / 재시작 리눅스 서버의 종료 및 재시작 - shutdown을 이용한 시스템 종료 및 재시작 # /sbin/shutdown [-t sec] [-rkhncfF] time [warning-messages] -k : 실제로 종료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만을 보냅니다. -r : 시스템 종료후에 재부팅을 합니다.(reboot) -h : 시스템을 종료하며 재부팅을 하지 않습니다.(halt) -f : 재부팅할 때 파일시스템체ㅡ를 (fsck: file system check)를 하지 않습니다. -c : 이전에 내렸던 shutdown명령을 취소합니다. time : 몇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할 것인가를 지정합니다. warning-messages : 사용자에게 보내질 종료 메시지. # shutdown -h 5 "system.. 더보기 [Linux] 리눅스 메모리 사용량(Memory Usage) 확인 - 실제 메모리 사용량 1. 리눅스 메모리 확인 Linux 커널은 유휴 메모리가 있다면 캐시하려고 한다. Linux는 I/O 성능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통신 시 메모리에 적재 후 통신을 한다. 이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빠르게 하기 위함인데 이를 Page Cache라 한다 한번이라도 데이터를 읽거나 쓴 적이 있으면 메로리는 Page Cache에 적재 된다. 이러한 Page Cache의 메커니즘은 Free 명령으로 메모리를 확인 했을 때 free 영역에 나타나는 가용 메모리가 적게 나타나는 원인이 된다. 실질적인 의미의 메모리 사용률을 구하려면 캐시 영역도 유휴 메모리로 봐야한다. 명목메모리 사용률 = used / total = ( total - free ) / total 실질메모리 사용률 = used2 / total =.. 더보기 Make 스크립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 더보기 서버 버전 및 패키지 버전 체크 서버 버전확인 cat /etc/*-release | uniq 설치 패키지 버전 확인 rpm -q [package_name]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