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root@localhost]# tar xvfz rsync-2.5.6.tar.gz
[root@localhost]# ./configure
[root@localhost]# make
[root@localhost]# make install
rpm 설치
rpm -Uvh rsync-2.4.6-1.i386.rpm
yum install rsync
yum install xinetd
# vi /etc/xinetd.d/rsync
'disable = yes' 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'disable = no' 로 변경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 default: off
# description: The rsync server is a good addition to an ftp server, as it \
# allows crc checksumming etc.
service rsync
{
disable = no
socket_type = stream
wait = no
user = root
server = /usr/bin/rsync
server_args = --daemon
log_on_failure += USERID
}
# vi /etc/rsyncd.conf
/etc/rsyncd.conf의 경우 처음에는 없는 파일일 가능성이 높다. 편집기를 이용해 새로 작성해준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rsync_test] -> 사용할 rsync 서비스 이름
path=/data/rsync_test/ -> 데이터 원본 경로
comment = rsync_test -> 코멘트
uid = root -> 권한 사용자
gid = root -> 권한 그룹
use chroot = yes
read only = yes
hosts allow = 192.168.123.11 -> rsync 클라이언트 IP. localhost일 경우 입력하지 않아도 됨
max connections = 3
timeout=600
# /etc/init.d/xinetd restart
rsync는 873 포트를 사용하므로, 873 포트 허용해준다.
클라이언트!
# telnet [rsync 서버 IP] 873
ex) telnet 192.168.123.10 873
telnet을 이용하여 873 포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한다.
# rsync -avz [IP]::[서비스명] 저장디렉토리
ex) # rsync -avz 192.168.123.10::rsync_test /data/rsync_test
혹시 내역을 로그로 남기고 싶을 경우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# rsync -avz 192.168.123.10::rsync_test /data/rsync_test > /data/rsync.log
참조 :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ke 스크립트 (0) | 2016.02.16 |
---|---|
서버 버전 및 패키지 버전 체크 (0) | 2016.02.16 |
mysql root password 초기화 (0) | 2016.02.15 |
mysql passwd expired (0) | 2016.02.15 |
iso를 통한 Yum local repository 설정 (0) | 2016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