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서버의 종료 및 재시작
- shutdown을 이용한 시스템 종료 및 재시작
# /sbin/shutdown [-t sec] [-rkhncfF] time [warning-messages]
-k : 실제로 종료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만을 보냅니다.
-r : 시스템 종료후에 재부팅을 합니다.(reboot)
-h : 시스템을 종료하며 재부팅을 하지 않습니다.(halt)
-f : 재부팅할 때 파일시스템체ㅡ를 (fsck: file system check)를 하지 않습니다.
-c : 이전에 내렸던 shutdown명령을 취소합니다.
time : 몇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할 것인가를 지정합니다.
warning-messages : 사용자에게 보내질 종료 메시지.
# shutdown -h 5 "system rebooting..." -> "system rebooting..." 메시를 뿌리면서 현재부터 5분 후에 시스템을 종료
# shutdown -c -> shutdown 종료명령 취소
# shutdown -r +5 "system rebooting..." -> 5분 후에 시스템을 재시작
# shutdown -r now -> 시스템을 즉시 재부팅
# shutdown -h now -> 시스템을 즉시 종료
- reboot(= shutdown -r now)으로 서버 재시작하기
- poweroff로 서버 종료하기
- halt(= shutdown -h now)로 서버 종료하기
- init을 원하는 실행레벨로 서버 종료 및 재시작
레벨0 : 시스템종료(init 0, 그리고 halt와 shutdown -h now와 동일함)
레벨1 : 싱글모드(관리모드), ㅗㄴ솔로서만 접근가능하며 수퍼유저(root)만이 사용할 수 있다. 시스템관리나 root패스워드를 벼경하고자할 때에 사용함(init 1)
레벨2 : NFS를 지원하지않는 멀티유저 실행모드(init 2)
레벨3 : NFS를 지원하는 멀티유저 실행모드(init 3)
레벨4 : 사용하지않는 실행레벨(사용자가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)
레벨5 : X윈도우 환경으로 실행된 멀티유저 시행모드(init 5)
레벨6 : 서버 재부팅되는 실행모드(init 6, reboot, shutdown -r now)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Mysql dump (0) | 2017.02.03 |
---|---|
[Linux] 오라클 실행 및 종료 (2) | 2017.02.03 |
[Linux] 리눅스 메모리 사용량(Memory Usage) 확인 - 실제 메모리 사용량 (0) | 2017.02.01 |
Make 스크립트 (0) | 2016.02.16 |
서버 버전 및 패키지 버전 체크 (0) | 2016.02.16 |